Brain MRI 판독을 하는 순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Brain MRI 보는 방법
4개의 모니터에 3X3으로 image를 펼쳐놓습니다. Brain은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환자에서 비슷한 위치의 anatomy를 볼 수 있습니다.
Description of the lesion
1. Identification of the lesion
2. Anatomic qualifiers
3. Margin
4. (Internal) focal structures
5. Neighboring lesion
6. Remote lesion (related/unrelated)
병변을 설명할 때는 위 순서대로 합니다. 흥미로운 점은 병변의 경계를 내부 구성물보다 먼저 설명한다는 점입니다. 실제로 환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병변의 안쪽이 아니라 경계입니다. 병변의 안쪽은 미래에 있을 일을 예측하는 역할을 합니다.
Imaging modality
Qualitative study: DWI, ADC, Gradient, FLAIR, enhance
Quantitative study: T2, T1-weighted imaging
T2-weighted imaging에서 anatomy를 열심히 보라고 하십니다(quantitative study). 그 외 FLAIR, enhance에서는 high signal, gradient에서는 low signal을 보이는지 확인하면 됩니다.
T2 Axial
1. Superior sagittal sinus
2. Cavernous sinus (Meckel's cave)
3. Internal acoustic meatus
T2 axial 에서 병변과 중요한 구조물들을 자세히 파악합니다. 여기서 놓치지 않아야 하는 부위는 위 3가지입니다.
T1 axial
1. Clivus and petrous apex
2. Trigone
3. Mandibular condyle
T1 axial 에서는 위 부위에 병변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Sagittal imaging
1. Parasellar area
2. Foramen magnum
3. Corpus callosum
Sagittal image에서는 axial에서 사라지는 위 3가지 부위를 확인합니다.
Angiography
Aneurysm
1. Anterior: ACom, pCom, MCA bifurcation
2. Posterior: TOB, SCA, PICA
Dissection
M1, carotid dorsal, petrous
Stenosis
1. Anterior circulation: M1, cavernous ICA, carotid bifurcation
2. Posterior circulation: VA orifice, V4, mid-basilar artery
놓치기 쉬운 병들
0. Venous infarction
1. TB
2. Lymphoma
3. Neurofibromatosis
'Colum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USMLE Step 3 접수 후기 (4) | 2024.08.13 |
---|---|
2025 USMLE pathway 1 지원 후기 (13) | 2024.07.21 |
크로이츠펠트-야콥병(Creutzfeldt-Jacob disease)과 프리온(prion) (0) | 2024.05.29 |
2024 OET medicine exam 후기: OET for ECFMG pathways, USMLE (10) | 2024.05.08 |
Brain MRI: Loss of consciousness (thalamus anatomy) (0) | 2024.05.03 |